vx만의 640x480 스크립트는 꽤 쓸만하더군요. 하지만 ace에 적용하니 역시 안되네요.
소소한 기능을 따지면 ace로 넘어가는게 편의상 좋은데, 역시 작업은 편해도 표현의 한계에서
고민하게 되네요. 컷인 그림위주로 많은 그림삽입을 하려고 하는데 역시 조금이라도 넓은 화면이
유리하거든요.
제약이 없다면 vx ace에서도 해상도변경이 가능한건지..
스크립트를 다룰줄 모르는 입장에서 기다려 볼만한 일인지 궁금합니다.
vx만의 640x480 스크립트는 꽤 쓸만하더군요. 하지만 ace에 적용하니 역시 안되네요.
소소한 기능을 따지면 ace로 넘어가는게 편의상 좋은데, 역시 작업은 편해도 표현의 한계에서
고민하게 되네요. 컷인 그림위주로 많은 그림삽입을 하려고 하는데 역시 조금이라도 넓은 화면이
유리하거든요.
제약이 없다면 vx ace에서도 해상도변경이 가능한건지..
스크립트를 다룰줄 모르는 입장에서 기다려 볼만한 일인지 궁금합니다.
640 X 360 와이드 모드로 해상도를 적용해 본 결과~
타이틀은 직접 만들어 주는게 좋아요.
0.
허걱님 답변에 추가 답변 달아드리자면, Graphics.resize_screen(width,height)를 통해서 윈도우 사이즈를 조절하더라도 추가적으로 Sprite Map 클래스에서 각 Viewport의 사이즈를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만일 수정해 주지 않을 경우 화면의 주변부는 검게 표시될 것입니다. 다행인 점은 VX에서와는 달리 윈도우 사이즈의 변동과 관계없이 Viewport의 위치가 정 중앙에 위치하여 화면 스크롤에서의 화면 중심 좌표를 추가적으로 수정 해주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정말 Ace는 뜯어고치기에 좋아졌다고 봅니다.
|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빈 섹션에
Graphics.resize_screen(width,height)
이런 식으로 적어주면 화면의 크기(윈도우의 크기,위치등..)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