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욕하고싶진않지만 저절로나오는공식.

by 포뇨 posted Apr 14,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번쯤은 들어봤을 그레이엄수(안들어봤으면 지금들으셍요)


자연수 x, y에 대해 연산자 ↑는 다음과 같다:

 

x↑y = xy

 

또, ↑↑는 다음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한다.

 

x↑↑2 = x↑x = xx

x↑↑3 = x↑(x↑x) = xxx

...

x↑↑y = x↑(x↑↑(y-1)) = x↑x↑x↑.....↑x (y개) = xxx... (y개)

 

마찬가지로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2 = x↑↑x

x↑↑↑3 = x↑↑x↑↑x

...

x↑↑↑y = x↑↑(x↑↑↑(y-1)) = x↑↑x↑↑x↑↑...↑↑x (y개)

 

이와 같이 하여 ↑↑↑...(n개)...↑ = ↑n를 정의한다.

 

x↑n2 = x↑n-1x

x↑ny = x↑n-1(x↑n(y-1))

 

이 정의를 이용하여 함수 G(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G(x) = 3↑x3

 

이 때, G64(4)를 그레이엄수라 한다.

 

G(X)를 계산해 보면,

 

G(1) = 3↑3 = 33 = 27

G(2) = 3↑↑3 = 3↑(3↑↑2) = 3↑(3↑3) = 3↑27 = 7625597484987

G(3) = 3↑↑↑3 = 3↑↑(3↑↑↑2) = 3↑↑(3↑↑3) = 3↑↑G(2) = 3↑↑7625597484987

G(4) = 3↑↑↑↑3 = 3↑↑↑G(3)

 

이처럼 급격히 증가하여 이미 G(3) 이후부터 계산이나 표기가 곤란하다.

 

G2(4) = G(G(4)) = 3↑.....{G(4)개}.....↑3

G3(4) = G(G2(4))

Who's 포뇨

?

2012-12-23 일요일 다녀갑니당..오랜만이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