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

[칼럼] 참신함이 사라진 국내 게임시장, 정녕 해법은 없나?

by JACKY posted Jan 18,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W142138407105132241_99_20150116142239.jp


원본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필자는 이렇게 게임에 대한 반감을 키운 주요한 원인은 '돈(MONEY)' 때문이라고 본다. 어디서 이렇게 말하면 원시인 취급 받을 수도 있겠지만 게임은 원래 놀이, 유희에서 유래된 것으로 돈이 아닌 재미(유희)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게임이 사업화(돈벌이 수단) 되면서 이런 게임에 대한 게이머들의 반감은 계속 커질 수 밖에 없다. 기업은 돈을 벌기 위한 계획(비즈니스모델)을 세워 게임을 만들고 돈을 써서 사람들을 모은다. 그리고 몇몇 게이머들은 게임으로 돈을 벌기 위해 돈을 써서 게임을 플레이 한다. 또 특정 정부 단체는 돈을 벌기 위해 게임으로 돈을 버는 기업들을 향해 규제의 칼날을 세운다. 이는 필자의 눈에 비친 현재 국내 게임시장의 단상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칼럼 내에서는 기업을 문제잡는데, 기업도 잘못이지만 이용자도 문제입니다.


2000년대 초반만해도 이정도까진 아니였죠. 문방구가면 패키지게임 많이 팔더군요.

근데 그회사들 지금 다 사라졌습니다. 웬만큼 큰 회사가 아닌한 죄다 없어졌더군요.

흔히들 CD 게임이라고 하면서 하지도 않고, 돈주고 사야된다는거에서 거부감느낍니다.


근데 이건 까고 말해서 매우 잘못된겁니다.

이런 사람들을 보면 온라인게임 현질은 10만원대로 해가는데 게임CD 만원짜리 살 돈은 없는겁니다.

유저들이 이따위니 좀 괜찮게 만들어서 팔아보려 했던 인디 내지는 캐피지 게임은 다 아작나고,

게임성이나 개성은 개나 줘버린채 캐쉬템으로 돈 갈취하는 X슨이나 카카X게임따위가 성행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게임의 수요자인 이용자가 스스로 돈을 뜯기는걸 더 즐기겠다니 기업입장에서 뭐 어쩌겠습니까?


요즘에 그나마 험블번들이나 스팀으로 많이 구매하는 추세지만 이미 한국 패키지 시장은 죽었으니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거랑 다를게 없군요.

Who's JACKY

profile

JACKY ( 더블제이 )

- 아방스 오래 활동했으나 지금은 안함. 예전에 더블제이로 활동.

- 현재 소프트웨어/AI 회사 정직원.

- 구인요청, 커미션, 질문 등 안 받음.

 

** 완성작

 

단독작전(Private Plans) - 중학교 축제 출품

스페이스 인베이더즈(Space Invaders) - 고등학교 축제 출품

 

** 제작중단

 

메탈 페이블 :: 숨겨진 힘

한때 열심히 개발했고 포트폴리오로도 사용했던 게임.

개발 재개계획 없음 (아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