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

탈퇴했다가 다시 재 가입했습니다

by 정체불명 posted Oct 0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탈퇴했다가 재 가입했습니다

알만툴도 끊고 게임도 끊고 아방스 홈피와의 관심사는 같은게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가끔씩 들르게 되는건

아방스 홈피를 초창기 시절때부터 찾아온 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때는 매일 같이 수 페이지씩 쏟아지는 질문들에 하루종일 컴터 앞에 앉아서 답변하면서 지냈었죠

아는게 있으면 알려주고 싶고 새로 알아낸게 있으면 올리고 싶고 말이죠

이제 비록 아방스 홈피와 관심사가 좀 다르지만

게시판 하나가 있더군요 "기타 강좌"라고 ㅋ

아직까지도 무언가 아는게 있으면 나눠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건 왜일까요

어찌되었든 저는 요세 Scheme이라는 언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인데 c언어에 비해 아주 간단하고 쉽네요

MIT대학에서 Lisp이란 언어를 가지고 약간만 다르게 만든 언어입니다.

Lisp의 사투리격인 언어라고도 하죠.

현재도 MIT대학에서는 초보 프로그래머들에게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Computer Programs(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와 해석)라는 책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 책에서 쓰는게 스킴이라는 언어구요

간혹 MIT모르는분들을 위해.. MIT대학은 스탠포드, 버클리, 하버드, 캠브릿지, 예일 대학만큼 유명한 대학입니다.

뭐 유명하니까 배우는건 아니고요 하하..;;

저도 배운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쓸모가 아주 많은거 같아서 계속 배워보려구해요

여기다가 가끔 강좌도 적어보고 싶구요(기타 강좌란이 되겠죠?)

간단히 소개하자면

우리가 덧셈을 할때에는 1+2+3+4+5+6 이렇게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두잖아요?

그런데 이 Lisp이나 Scheme에서는 앞에다가 적어요

그래서

1부터 10까지 더하고싶으면

(+ 1 2 3 4 5 6 7 8 9 10)이렇게 하면 값이나와요

+가 있는 자리에 함수이름이 들어가고 그 뒤에 함수에 넘겨줄 데이터(인자 또는 파라미터라고 하죠)가 오는 구조에요

그리고 괄호 안에 '를 붙이거나 list함수를 쓰고 그 뒤에 인자로 데이터를 넣어주면 리스트가 되요

'(1 2 3 4 5 6 7 8 9 10)이런 1부터 10까지 들어가있는 리스트이구요

(length '(1 2 3 4 5 6 7 8 9 10)) 이렇게 하면 데이터의 길이인 10이 나와요

그런데 리스트의 원소들중에 계산을 해서 넣고 싶은게 있을수 있어요

그럴땐 '(1 2 3 4 5 (+ 3 3))하시면 안되고

(list 1 2 3 4 5 (+ 3 3))하시면 1부터 6까지 들어간 리스트가 됩니다

뭐 이정도 읽으셨으면 문법의 대부분을 뗀거나 다름없어요

함수자리에 들어올수 있는 여러가지 함수 이름과 여러가지 기술을 좀 더 배우면 되는거죠

음 밤이 늦었으니 이만 쓰도록 하죠

아방스님 다시 만나서 반가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