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제가 아주 잘 아는 사람 이야기인데요. 만들고 싶은 게임이 있는데 프로그래밍 기술이 없어서 프로그래밍을 배우려고 합니다.

 

그런데 어쩌다 기대하지 않고 프로그래머 입사 지원을 했는데 면접 오라고 해서 (이 사람이 스펙은 좀 되거든요) 갔더니 프로그래머 말고 게임 기획 쪽 일을 해볼 생각이 있으면 연락 달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원래 계획대로 프로그래밍을 배워서 프로그래머가 될지, 아니면 당장 할 수 있는 게임 기획 실무를 익힐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일단 연봉은 기획자 쪽이 처음에는 더 적지만 경력상의 성공보수는 기획자 쪽이 더 높다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봉은 비슷하다고 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수 있느냐 그겁니다. 장기적으로든, 단기적으로든.

 

기획자가 되면 프로그래머를 따로 두게 되는데, 시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책임을 안게 됩니다. 게임이 실패하면 기획자는 그 책임을 고스란히 떠안고 받아주는 회사도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에서는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보다는, 잘 팔리는 게임을 만들어야 합니다. 프로그래밍은 거의 전적으로 프로그래머에 의존하게 됩니다.

 

반면 프로그래머가 되면, 게임이 실패해도 다른 회사로 갈 수 있고, 따로 프로그래머를 둘 필요 없이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은 개인적인 시간에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대신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개인적인 시간이 넉넉할 것이라고는 보장 못합니다.

 

기획자가 되면 운좋게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어서 잘 팔리게 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과 실패에 기획자의 선수생명이 걸려 있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보다는 대부분의 경우가 수익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안전한 방향으로 제작이 흘러가게 될 것이고, 또 프로그래밍 기술이 없으면 개인적인 시간에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수도 없습니다.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데, 기간이 적게는 6개월, 포트폴리오 작업 기간까지 합치면 1년까지도 계산해 넣어야 합니다. 프로그래머로 공부를 먼저 시작한 후 1년 후에 아니다 싶으면 기획자로 일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기획자는 당장 시작할 수 있는 것이고, 프로그래머는 1년 후에나 시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단 올려놓고 무슨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네이버에서 비슷한 사례는 없는지 검토도 해봐야겠군요.

Comment '7'
  • profile
    습작 2012.11.30 21:18

    기획자라고 해서 모두 들어가자마자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운이 좋아 신규프로젝트팀에 들어간다면 게임 개발작업을 하겠지만, Live 서비스 팀으로 갈경우 유지보수 및 패치를 한다고 합니다.

    물론 신규 프로젝트 팀에 들어가더라도 신입인 이상 자기가 원하는 장르 또는 자기만의 프로젝트를 하는 것은 많은 경력이 쌓여 높은 직급에 오르거나,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독립하는 경우입니다. 기획자라고 해서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수 있느냐는 조금 더 생각해 봐야 할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시간을 활용한 소규모의 게임 개발 작업이라면, RPG Maker나 Game Maker와 같은 툴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가능한 부분입니다. 물론 신입시절에는 일도 바쁘고 시간도 없어 그럴 시간이나 있겠냐만, 이는 논지에서 약간 벗어나므로 논외로 하고, 일단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으면 좋지만, 없더라도 기획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정도의 프로그래밍 지식만으로도 충분히 자신의 게임을 제작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최근 한글화로 이슈가 된 스팀 등재된 To The Moon의 경우 RPG Maker XP로 제작된 게임이며, 그 밖의 많은 Game Maker 작품들이 상용화 되어 판매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본다면, 게임 제작에 반드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 않나 생각합니다.

    게임 실패에 대한 책임을 떠안는 단계를 고려하기엔 신입개발자는 아직 갈길이 먼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만, 이에 대하여 뭐라 딱히 잘 알지 못하므로 언급하기가 힘든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이러니 저러니 길게 적어보았습니다만, 본인 적성에 맞고 보다 잘하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획자이면서도 추후 프로그래밍을 배워 포지션을 변경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으니 후일 어찌되실지는 아무도 모르지요. 아무쪼록 아시는 분께서 잘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
    탐험가 2012.12.04 17:09

    면접에서 기획자가 되고 싶은 이유를 물으면 십중팔구 다른 역할과 달리 만들고 싶은대로 만들 수 있어서라고 답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업계 종사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시장 현황도 있고, 투자자가 원하는 방향이 있고, 또 기술의 문제도 있습니다. 그래서 기획자는 절대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적어도 하는 일은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게 아니라는 것이지요. 운이 아주 좋은 경우에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과 맞아 떨어지는 수가 있는데,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이 상품성이 없다면 그런 경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해당된다고 해도 단발성입니다. 게임 출시도 못해보거나, 출시해도 팔리지 않을 것이므로.

     

    개인시간을 활용한 게임 개발이라 하더라도, 기획자 수준의 프로그래밍 지식으로는 "자유자재"로 "자신이 만들고 싶은대로" 무한한 가능성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물론 To the moon같은 경우 상용게임이고 잘 만든 게임이긴 하겠지만, 과연 그 게임에 스크립트가 기본 스크립트만으로 만들어졌을까요? 단 한 글자도 수정하지 않고? 게임 제작에 반드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이 필요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자신이 만들고 싶은대로 자유자재로, 무한한 가능성을 표현"해내기 위해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이 과연 필요 없을까요? 판매할만한 게임은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그러니까 to the moon같은 상품은 직장에서 얼마든지 만들어내도,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기에는 기술이 부족해서 못 만듭니다.

     

    적성에 맞고 보다 잘하는 쪽. 보다 잘하는 쪽이 기획보다 프로그래밍이었다면, 기획을 해보겠느냐고 하지 않고 프로그래머로 시작하라고 했겠지요. 어쩌면 지금이 이미 그 프로그래밍을 배울 "추후"인지도 모릅니다. 기획만으로는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까요.

  • profile
    하늘바라KSND 2012.11.30 23:28
    음...

    처음에 만들고 싶은 게임이 있어서 프로그래밍을 배우려고 했는데

    무슨 저의인지 일단은 입사시험을 그냥 봤고, 우연찮게 기획을 하지 않겠냐는 말을 듣고 고민하시는 거군요.


    사실 그렇게 놓고보면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이 있어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은데 웬 취직 문제가 들러붙어 고민이시군요.

    어른들 자주 하시는 말로는 일단 눈앞의 기회는 잡고 원하는 건 취미로 하라카지만.

    저는 현실보다 마음이 따르는 곳을 선택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평생 할 일- 이 아닐지도 모르지만 돈 이전에 행복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게다가 아직 젊다면 한 번쯤 자신의 꿈을 따라 가는게 좋지 않나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작가로의 꿈을 향해!
  • ?
    탐험가 2012.12.18 22:04
    게임 기획자와 게임 프로그래머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저도 돈 이전에 행복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행복을 재는 척도에는 돈도 factor가 된다고 해야 하나...

    HRD기준 정보.
    게임기획자 직업만족도: 51%
    게임 기획자 평균 연봉: 3418만원.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InfoSrch/summaryExmpl.do?jobNm=08642

    게임 프로그래머 직업만족도: 23% <-------------(이게 중요. 게임 기획자의 직업만족도의 절반도 안됩니다.)
    게임 프로그래머 평균 연봉: 3127만원.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InfoSrch/summaryExmpl.do?jobNm=20236

    "게임기획자의초봉은 약 1700~2700 정도 되겟구요 "
    http://taesoo2217.tistory.com/50

    "평범한 능력의 게임 프로그래머 초봉은 보통 1600 ~ 2000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403&docId=71809192&qb=6rKM7J6EIO2UhOuhnOq3uOuemOuouCDstIjrtIk=&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RLtm2c5Y7vKsst5sr%2BRsssssstZ-194135&sid=UNBh2HJvLDMAABJAk-4

    게임 프로그래머
    수입 상위25% 179 만원 임금평균 165 만원 하위 25% 120 만원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403&docId=67560383&qb=6rKM7J6EIOq4sO2ajeyekCDqsozsnoQg7ZSE66Gc6re4656Y66i4&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

    700개 직업 만족도 순위.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136296

    399위. 게임기획자 14.6667점
    575위. 게임프로그래머 13.6000점

    직업 만족도 순위가 게임기획자에 비해서 게임프로그래머가 176위나 아래입니다.

    게다가 하는 일 자체인 코딩도 게임을 설계하는 기획에 비해 일반적으로 그다지 재미있는 작업이 아닙니다. 만들고 싶은 게임이 있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배우려는 것이지요. 게임기획자로서 만들고 싶은대로 게임을 만들 수만 있다면 굳이 프로그래밍을 배우려 하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게임 회사 사장도 무조건 마음대로 할수 없는게 게임 밭입니다. 사장이 무조건 하란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란 말이죠 , 최대한 사장의견에 맞게 할수는있지만 안되는건 어쩔수 없이 안되는것입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405&docId=117800323&qb=6rKM7J6EIOq4sO2ajeyekCDqsozsnoQg7ZSE66Gc6re4656Y66i4&enc=utf8&section=kin&rank=6&search_sort=0&spq=0&sp=1

    그런데 누구는 게임 기획자보다 게임 프로그래머가 더 되기 쉽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1. 프로그래머와 게임기획자중 어느게 날까요?? 일단 둘중 되기쉬운걸 꼽으라면 프로그래머가 되겠습니다...음 게임기획자는 비추천입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608&docId=34165765&qb=6rKM7J6EIOq4sO2ajeyekCDqsozsnoQg7ZSE66Gc6re4656Y66i4&enc=utf8&section=kin&rank=4&search_sort=0&spq=0

    반면 또 다른 사람 말에 의하면,

    넥슨 기획자 중 한 분이.

    "게임기획자는 고등학교까지 공부한 것으로도 충분하다." 라고 하셨습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2&dirId=212&docId=151480364&qb=6rKM7J6EIOq4sO2ajeyekCDqs6Dsobg=&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
    그만큼 게임 기획자 쪽이 쉽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여기서 한 번 정리.
    1. 연봉은 게임기획자와 게임프로그래머 중 누가 더 높은지 알 수 없다.
    2. 직업만족도는 게임기획자가 게임프로그래머보다 높다.
    3. 되기 쉬운 쪽이 어느 쪽인지도 알 수 없다. 하지만 기획자는 지금까지 공부한 것으로도 충분한데,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래밍을 더 배워야 한다.
    4. 게임 기획자라고 해서 만들고 싶은대로 게임이 만들어지게 할 수는 없다.

    의문점 1: 게임 프로그래머는 게임 아이디어도 내면 안된다? 어디 누군가가 그렇게 적은 것 같은데, 현업 종사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오히려 기획자는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이 아니라고 한다. 아이디어가 필요했다면 PC방을 돌며 설문조사를 해야 하는 게 낫다고.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팀원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그 아이디어가 게임에 반영될만큼 좋은 아이디어인지는 별개의 문제.
  • ?
    꿈달 2013.01.07 22:33
    저같은경우는 기획 과 프로그래밍을 동시에 담당하는데요
    위험한짓이지만 나름 좋습니다
    스토리텔링하시는분 구해서 기획과연동시키면되고

    프로그래머가 기획을하면 프로그래밍을 접하지못한 기획자가 생각해내지않은것을 기획할수잇고
    기획한것을 거의 99% 실현가능하다는것이죠
    저는적어도그래요 기획이랑 프로그래밍을 워낙좋아해서 두개다 담당하네요
  • profile
    A.미스릴 2013.04.29 09:27
    남자라면 프로그래머

    ㄱㄱ해
  • profile
    A.미스릴 2013.04.29 09:29
    아 그리고 기획자도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론적인건 알고있어야 한다고 알고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아방스 게시물 · 댓글 작성 규칙 (최근 수정일 2015.11.25) 17 file 완폐남™ 2012.07.17 40552
설문 저기.. 여기 스무살 넘는 분 계시나요? 12 ysb217 2013.01.14 1526
설문 [설문]메탈 페이블 [길더라도 꼭 참여해주세요] 13 JACKY 2012.12.18 752
설문 모바일 아방스 유져에게 묻습니다. 10 아방스 2012.12.14 753
설문 [프로젝트에 관한 설문]여러분들 의견좀 물읍시다잉 3 JACKY 2012.12.02 728
설문 게임 기획자와 게임 프로그래머의 길 중 선택할 때 뭘 고려해야 할까요? 7 탐험가 2012.11.30 1605
설문 퀘스트에 기한이 있는 것과 없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재미있을까요? 5 탐험가 2012.11.17 1547
설문 RPG XP) 를 사용할 때 과부하를 줄이는 아방스 유저들의 방법? 2 칸타모 2012.08.16 2188
설문 용어를 만듭세다! 22 하늘바라KSND 2012.07.22 923
설문 자게 기본 룰 정하는 게 어떨까요? 10 하늘바라KSND 2012.07.03 655
설문 자작 만화 게시판 ... 어떨까요 8 TheEK 2012.06.13 1531
설문 스크립트... 어디까지 써도되나요? 13 허걱 2012.06.09 895
설문 xp게임과 20xx, vx용 게임.... 작전제트 2012.05.21 1260
설문 엄청난 온라인게임!! 9 snci 2012.05.18 1430
설문 여러분은 어떤 타입의 게임플레이를 원하시나요? 12 TheEK 2012.05.17 1166
설문 게임공학과를 생각하고 있다면? 11 하늘바라KSND 2012.04.25 1279
설문 누가 귀엽고 누가 이쁜건지 투표좀요 ㄷㄷㄷㄷ 12 file 톰소여동생 2012.03.03 1883
설문 95 처럼 2k 시리즈 도 이젠 고시대 유물인가 ? 5 작은영웅 2012.02.04 2165
설문 메인화면에 안뜨는 강좌들 왠지 섭섭해요 3 정체불명 2012.01.18 1870
설문 검은색 패딩에 목도리 어느색이 어울릴까? 1 완폐남™ 2011.12.22 1699
설문 무슨 꿈을 꿨나요? 11 은색바람 2011.11.14 9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